네이버 검색 창에 IP 주소 검색 후 브라우저 창에 검색하여 IP time 로그인 창에 접속하기
보통 초기 설정으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admin, admin이기 때문에 입력 후 접속하기
고급 설정 - 네트워크 관리 - DHCP 서버 설정에서 IP 주소 대여 범위가 예를 들어 192.168.123.2 ~ 192.168.123.233으로 되어 있다고 하면 앞의 IP 주소는 놔두고 뒤의 IP 주소를 192.168.123.199(199는 제 임의의 값입니다 마음대로 설정 가능)로 설정하여 200번 이후는 고정 IP설정이 필요한 기기들을 위해 DHCP 서버가 할당하지 못하도록 설정
NAS, 네트워크 프린터, 포트 포워딩 설정 등 고정 IP가 필요한 기기들을 200번 이후로 설정하면 된다
설정이 필요한 기기의 IP 주소를 알아낸 후 (예로 리눅스 서버의 ifconfig를 통해 알아낸 IP 주소) DHCP 설정 아래 부분의 사용중인 IP 주소 정보에 해당하는 항목을 클릭 후 수동 주소 입력 부분란에 192.168.123.200 ~ 부터 할당하고 싶은 IP 주소를 입력하여 할당하면 된다. ex) 나의 로컬 서버는 192.168.123.200 를 입력하여 할당.
그 옆의 값들은 MAC 주소로 건들지 말 것. 그러면 설정이 필요한 기기가 재부팅 되어 원래라면 계속 IP가 자동 할당 되어 접속에 혼란을 만들었지만 해당 MAC 주소를 기반으로 아까 설정해 놓은 IP 주소(192.168.123.200)으로 고정 IP로 설정되어 접속 혼란을 막을 수 있다.
5번에서 할당 후 재부팅하여 다시 기기의 IP 주소를 확인해보면 성공적으로 할당 되어 있는 것을 확인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