람다(Lambda)
람다의 뜻은 대표적으로 2개로 나뉘어진다.
- AWS에서 제공하는 서버리스 컴퓨팅 플랫폼
- 프로그래밍 언어 차원에서 제공하는 람다 표현식
AWS 람다(Lambda)
AWS 람다는 서버리스 컴퓨팅 플랫폼을 지칭하는 말로서 서버가 없다는 뜻이 아닌 개발자가 서버의 존재를 신경쓸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. 오직 코드에만 집중할 수 있으므로 편한 플랫폼이다. 사용한 컴퓨팅 시간, 용량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하면 된다.
여기서 EC2와 람다랑 헷갈릴 수 있는데 EC2는 코드가 한 번 이상 실행되지 않더라도 즉, 사용하지 않더라도 서버 비용을 지불해야하는 것.
장점
- 특정 기간 또는 특정 주기로 코드를 실행시켜야할 경우
- 트리거가 실행될때만 코드를 실행시켜야할 경우
- 서버를 띄우지 않고 간단한 코드를 실행시켜야할 경우
단점
- 개발자에게 편리를 제공해주는 대신 비용이 비싸다
- 처음 함수 호출 시 Cold Start를 하게되어 초기 지연시간이 발생
람다 표현식(Lambda Expressions)
람다 표현식이란 메서드로 전달할 수 있는 익명 함수를 단순환한 것으로 함수의 이름이 없다.
특징
- 익명 : 보통의 메서드와 달리 이름이 없다.
- 특정 클래스에 종속되지 않는다.
- 메서드 인수로 전달하거나 변수로 저장할 수 있다.
- { } 를 사용하지 않고 = or => or ->을 사용하여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다.
'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웹 서버(Web Server)란? WAS란? (0) | 2022.06.17 |
---|---|
레디스란? (Redis) (0) | 2022.06.17 |
보일러플레이트(Boiler Plate)란? (0) | 2022.06.17 |
RESTFUL(restful)(RESTful) API가 무엇일까? (0) | 2022.06.17 |
Oracle(오라클)과 MySQL 문법 비교 (0) | 2022.06.17 |